본문 바로가기
논어와 놀기

1303, 必也正名, 반드시 명분을 바로 잡겠다.

by 문촌수기 2021. 5. 27.

공자의 십대 제자 중에 자로와 염유는 政事에 밝았다. 이들은 종종 스승에게 정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여쭈었다. 자로가 정치를 묻자, 공자께서는 "솔선하며 부지런히 해야 한다(先之勞之ㆍ선지노지)." 더 말씀해 주실 것을 청하자,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無倦ㆍ무권)."고 하셨다(13ㆍ01).
모든 정사가 일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말씀이다. 자로가 이번에는 다르게 질문을 드렸다. "위나라 군주가 선생님을 기다려 정사를 맡기려 하시니, 선생님께서는 장차 무엇을 먼저 하시렵니까?" 선생님께서 중요하게 여기는 정사의 핵심을 여쭌 것이다. 공자께서는 정명(正名)이라며, '명분을 바로 잡는 것'이 먼저라고 말씀하셨다.
이름답게 살아야 겠다. 똑바로 살아야 겠다. 말부터 앞세우지 말아야 겠다. 말했으면 반드시 지켜야 하겠다. 그 길이 이름답게 사는 길이요, 이름답게 사는 것이 아름다운 삶이다.

(13‧03) 子曰: “必也正名乎!”
.“...君子名之必可言也, 言之必可行也.
君子於其言, 無所苟已矣.”
(자왈: “필야정명호!”
"군자명지필가언야, 언지필가행야.
군자어기언, 무소구이의.”)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반드시 명분을 바로 잡겠다."
" ...군자가 이름을 붙이면(Naming) 반드시 말할 수 있으며, 말할 수 있으면 반드시 행할 수 있을 것이니, 군자는 그 말에 있어 구차함이 없을 뿐이다."
The Master replied,
What is necessary is to rectify names.’
The Master said,
Therefore a superior man considers it necessary that he names he uses may be spoken appropriately, and also that what he speaks may be carried out appropriately. What the superior man requires, is just that in his words there may be nothing incorrect.’


정명, 고군자명지필가언야, 언지필가행야, 군자어기언, 무소구이의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 야스퍼스는 이렇게 말했다.
"말이 들어맞아야 참다운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곧 명실상부(名實相符)해야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는 것이다. 선생님은 선생님다워야하고, 학생은 학생다워야한다. 그 '이름다움'이란 것은 사전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있는 것이며 실존과 실존 사이, 사람과 사람사이 곧 인간(人間)의 만남 속에서 인정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