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6/013

1323 화이부동(和而不同), 공존하며 자존을 지키는 삶 친구들과 벚꽃잎 피던 봄날에 가평천을 산책하였다. 물 가 백로와 물 속 가마우지가 가까이에서 어울린 모습을 보고 시조를 떠올렸다. "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라더니, 저 놈은 가마우지라서 어울렸나?" "아니지. 어울렸는지, 경계하는지, 그 속을 우리가 어떻게 안다고?" 허허허 하기사. 겉은 까매도 속은 희고, 겉은 희어도 속이 까만지, 그 또한 어찌 알까나? 그래도 다툼 없이 어울린 모습이 아름답다. 인간사도 서로 다르면서 화평하게 지내면 좀 좋을까? 화(和)는 다름을 인정하고 잘 어울리는 공존(共尊)의 삶이다. 부동(不同)은 나 다움을 잃지 않고 자존(自尊)하는 삶이다. 여기의 자존은 남과 비교해서 지키는 자존심이 아니라, 자긍하며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자존감이다. 군자다움은 자존감을 지.. 2021. 6. 1.
1319 공경충(恭敬忠), 공손하고 존경하며 충실한 삶 공경충(恭敬忠). 이 세 글자는 특별히 무겁다. 내가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을 받아 맡겨진 것 같다. 그래도 전각을 배우며, 처음 작품으로 새겨 본 글자는 '경(敬)' 一字였다. 敬齋로 당호를 삼을까도 한다. 사람이 엄하지 못해 지키지도 못하고 감당하기 어려울 것 같다. 새삼 를 다시 읽으니, 내게 공(恭)도 부족하다는 것을 알겠다. 공(恭)자를 새겨 경계해야겠다. 공재(恭齋) 윤두서가 부릅 뜬 두 눈의 자화상을 그린 까닭을 알 것 같다. 글자는 쪼개보면 그 의미는 쉽게 밝아진다. 공(恭)자는 재방 변(扌)의 좌우 두 손(手)으로 받들어 올리는 모습을 나타냈고 그 아래에 마음[心]을 그렸다. 무엇인가를 공손하게 받드는 마음 자세이다. 경(敬)자는 무릎을 꿇고 앉은 사람[진실로 구, 苟] 뒤에서 손에.. 2021. 6. 1.
1317 欲速則不達, 안단태 하자. '욕속즉부달, 소탐대실'. 익히 잘 알고있다. 그런데도 앞서고자 애쓰고 작은 이익도 아까워 한다. 늦으면 뒤쳐지고 기다리면 손해라 여긴다. 그래서 조바심을 내고 안달이다. 결국 애간장만 태우다 소득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제 안단테(andante) 하자. '느리게'라는 뜻이지만 , '걸음걸이 빠르기'다. 산책하기에는 딱 좋은 발걸음이다. 이제 安單泰(안단태)로 살아보자. 이렇게 살다보면 심신이 편안하고, 단순하고, 태평할 것이다. 13‧17 子夏爲莒父宰, 問政. 子曰:. “無欲速, 無見小利. 欲速, 則不達; 見小利, 則大事不成.” (자하위거보재, 문정. 자왈: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 즉불달; 견소리, 즉대사불성.) 자하가 거보의 읍재가 되어 정사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속히 하려고 하.. 2021.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