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을 찾아서56

(20) 우리 아이들의 작심일년 ♥마음 -(20)작심일년 '작심삼일(作心三日)' 마음먹은 것이 삼일을 못 간다는 말입니다. 참으로 마음 지어먹고 결심을 지키기가 어렵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하긴 마음먹은대로 만 된다면 이 세상에 감당치 못할 일 어디 있겠습니까? 세상사 뜻대로 되지 않으니 마음 먹은대로 되지도 않고 그래서 심지가 약하고 초발심은 희미해져 작심은 허지부지 해지고 맙니다. 작심삼일이 될지라도 삼일에 한번씩 꾸준히 작심을 한다면야 그나마 뭔가를 이루어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작심삼일이란 말은 들었어도 '작심일년'이란 말은 난생처음 들었습니다. 신선한 경험이었습니다. 지난 중간고사 시험 감독차 우리학교 2학년 어느반에 들어갔습니다. 시험지를 나눠주고 OMR카드 답안지를 점검확인하다 학생들 책상 상단 귀퉁이 붙여놓은 '작.. 2013. 1. 1.
(19) 일체유심조 ♥마음 -(19)일체유심조 원효스님이 의상스님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나섰다가 폭풍우를 피해 무덤 속에서 잠을 자게된 이야기는 달리 이렇게도 전해집니다. 원효스님과 의상스님은 무덤 속인지를 모르고 피곤에 지친 몸을 뉘고 곤히 잠이 들었습니다. 원효스님께서는 갈증을 느껴 더듬거리며 바가지의 물을 찾아 마셨습니다. 그리곤 다시 깊은 잠에 빠졌습니다. 이튿날 깨어보니 원효스님께서 마신 물은 바로 해골바가지에 고인 썩은 물이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죽은 사람의 해골들이 굴러다니고 있었습니다. 갑자기 스님의 뱃속이 뒤집어지며 참을 수 없는 구역질로 뱃속의 모든 것을 토해내었습니다. "해골바가지의 물이 변한 것도 아닌데 한밤중에 마신 물은 어찌 달콤하였고 지금의 썩어빠진 물은 어찌 내 속을 뒤집어 놓는 걸까? 이는.. 2013. 1. 1.
(18) 마음 밖에서 무얼 구하랴? 마음 -(18)마음 밖에서 무얼 구하랴? 일심화쟁, 원융회통 (一心和諍 圓融會通). '한 마음의 차원에서 여러 종파의 쟁론을 화합하고, 원만하고 막힘이 없이 만나고 통한다'는 화쟁사상을 통하여 한국불교의 통일사상 전통을 확립하신 위대한 스승이 바로 원효스님이십니다. 당나라로 유학의 길을 떠나기 위해 원효스님은 의상스님과 함께 서해안의 바다에서 배를 기다렸습니다. 해는 저무는데 기다리는 배는 오지 않고 대신에 폭풍우가 몰아쳤습니다. 비를 피하고 하룻밤 등 붙일 곳을 찾아 두스님은 토굴을 발견하고 들어가 잠을 잤습니다. 아침에 깨어난 두 스님은 깜짝 놀랐습니다. 그 굴은 안에 해골이 나뒹굴고 있었습니다. 바로 집단 무덤이었습니다. 폭풍우가 계속 휘몰아치니 달리 비를 피할 곳을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그 무.. 2013. 1. 1.
(17)움직이는 것은 마음일세. ♥마음 - (17)움직이는 것은 마음일세. 더벅머리의 오랑캐 혜능은 오랫동안 세상에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아니 그를 인가해준 홍인스님(602-675)이 죽은 이후에도 임야에 묻혀 은둔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때가 이르렀음을 알고 제 모습을 드러내니 그의 나의 서른 아홉, 서기 676년이었습니다. 중국 광주 법성사(廣州 法性寺)에 주지 인종법사(印宗法師)께서 절마당에 자리를 펼치고 대중들에게 강론을 하고 계셨는데 그 마당 뒷자리에 혜능이 개나리 봇짐을 짊어지고 듣고 있었습니다. 때마침 바람이 불어 절 마당의 장대 깃발이 펄럭이는 것을 보고 주지스님께서는 대중들에게 무엇이 움직이는 것인가를 말해보라고 했습니다. 몇몇 스님들이 웅성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저건 바람이 움직이는 것이다." "허허 그것이 어찌 바람이오.. 2013. 1. 1.
(16) 마음은 거울인가? ♥마음 -(16) 마음은 거울인가? 2조 혜가에게로 전해진 달마스님의 의발(衣鉢)은 3조 승찬, 4조 도신에게 전해지고, 이후 5조 홍인(弘忍)에게 전해졌습니다. 5조 홍인은 그 의발을 6조 혜능(慧能)에게 전해주는데 그 이야기가 무척이나 극적입니다. 혜능은 당시 중국 변방의 오랑캐 사람으로 소위 시골뜨기로 일찍이 부친을 여위고 홀어머니를 모시고 그럭저럭 땔감을 팔아먹고 사는 일자무식 나무꾼이었습니다. 어느날 나무땔감을 팔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불경소리를 듣고 크게 깨친바 있어 모친을 이웃에게 부탁드리고 출가하였답니다. 그때들은 불경소리는 [금강경]이었답니다.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而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마땅히 색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며 마땅.. 2013. 1. 1.
(15) 부처에게는 마음이 없다. ♥마음 -(15)부처에게는 마음이 없다. 중국 선종 제3조이신 승찬(僧璨)스님께 어린 소년이 찾아와 절을 올리며 여쭙니다. "어떤 마음을 일러 부처님의 마음이라 하옵니까?" 이에 승찬스님께서는 되묻습니다. "지금의 네 마음은 어떠하냐?" 소년은 곰곰이 생각에 잠기더니 이렇게 말합니다. "글쎄요. 지금의 제 마음은 없는 듯 하옵니다." 승찬스님께서는 소년에게 다정스레 말씀하십니다. "너마저도 마음이 없는데 부처님에게 무슨 마음이 있겠느냐?" "...................????????????????? !!!!!!!!!!!! ............." 승찬스님은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씀으로 깨우쳤거늘 '부처에게는 마음이 없다'며 가르칩니다. 어린 소년은 또 간구합니다. "스님, 저에게 해탈(풀 해.. 2013. 1. 1.
(14)마음이 곧 부처 ♥마음 - (14)마음이 곧 부처 중국선종 초조(初祖)인 달마의 가사와 발우가 팔뚝을 잘라 바친 혜가(慧可)에게 전해졌습니다. 어느날 선종 제2조인 혜가스님에게 문둥병에 걸린 한 거사가 찾아와 참회하며 말합니다. "전생의 지은 죄로 이렇게 문둥병에 걸렸는가 봅니다. 스님께서 저의 죄를 용서해주십시오." 혜가스님은 이렇게 말합니다. 마치, 그의 스승께서 '마음을 내놓으라'하신 것처럼 말입니다. "그대의 죄를 내놓으시오. 내가 참회케 해주겠소." 이에 문둥이 거사는 마음을 찾지 못한 혜가스님처럼 말합니다. "한참을 찾았으나 저의 죄를 찾지 못하겠습니다." 죄를 찾지 못했다면 이미 죄가 없게 되었습니다. 혜가스님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렇다면 내 이미 그대의 죄를 용서하였으니, 이제 불■법■승 삼보(三寶)를 .. 2013. 1. 1.
(13)혜가의 결심과 안심 ♥마음 -(13)혜가의 결심과 안심 달마는 장강을 건너 하남의 숭산 소림사에 이르러 9년 동안 눕지도 않고 벽을 바라보며 앉아 수행을 하였습니다. 어찌나 눈꺼풀이 무거운지 그는 눈썹을 뽑아 버렸습니다. 그러자 그의 앉은 둘레에 푸른 잎사귀가 난 키 작은 나무가 자라났습니다. 그 잎사귀를 물에 다려 마셨더니 졸음이 달아났습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마시는 차(茶)의 유래라 합니다. 곧 차(茶)의 씨앗은 달마의 눈썹인 셈이지요. 그렇게 장자불와 면벽수행할 적에 어느 젊은 스님이 찾아와 제자로 삼아 불법을 깨쳐 주실 것을 간청하였습니다. 그러나 달마스님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눈발이 세차게 몰아치는 데도 그 젊은 스님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달마스님 또한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제자의 굳센 결심.. 2013. 1. 1.
(12) 달마의 직지인심 Category: 마음을 찾아, Tag: 여가,여가생활 09/18/2004 10:54 pm ♥마음 -(12)달마의 직지인심 서기 527년 인도의 달마(達摩)스님께서 배를 타고 동쪽 중국으로 오십니다. 이때 양(梁)나라의 무제(武帝)는 불법을 좋아하여 도교를 물리치고 많은 사찰을 짓고 불교를 융성히 일으킨 임금이었습니다. 양무제의 초청으로 달마스님은 수도 남경에 오게 되었습니다. 양무제와 달마스님은 만나 다음과 같은 말씀을 나누었습니다. "내 즉위한 이래 몸소 불법을 실천하고 사찰을 일으키고 스님들에게 도첩을 내렸으니, 무슨 공덕이 있겠소?" "공덕이 없습니다.[無功德]" "무엇이 가장 성스럽고 으뜸가는 진리입니까?" "텅 비어서 성스럽다 할 것도 없습니다.[廓然無聖]" "나와 마주한 그대는 누구십니까?".. 201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