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사직단 이야기
인왕산 남쪽 끝 자락에 사직단이 있다.
국가를 상징하는 종사(宗社, 종묘 사직)의 하나로서 매우 중요한 곳이다. 여기를 찾아 숫자로 사직단을 읽어본다.
▣ 숫자로 읽는 사직단(社稷壇)
사직단의 이해와 의미를 흥미롭게 새겨보기 위해 숫자로 이야기해본다. 사직단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서는 사직단 북쪽에 있는 종로어린이도서관 뜰이나 계단을 올라 복도에서 내려다본다.
○ 4 : 가장 먼저 눈에 보이는 숫자이다. 두개의 제단이 사각형이다. 사각형은 땅을 상징한다. 하늘은 원으로 상징된다. 담장도 사각형이다. 담장 안으로 들어가는 신문(神門)도 네 개이고, 제단으로 들어가는 유문(幽門)도 네 개이다. 사신문 중 북신문(北神門)이 정문임을 알 수 있다.
○ 2 : 두 개의 제단 중, 동편이 사단이고 서편이 직단이다. 사단은 토지신을 위한 제단이고, 직단은 곡신(穀神)을 위한 제단이다. 사단은 곧 국토의 안녕을 기원하고, 직단은 곡식의 풍년을 빌어 백성의 살림과 국가 경제를 기원한다.
○ 3 : 제단으로 들어가는 길이 세 개 있다. 북신문으로 들어가는 향축로(香祝(路ㆍ향과 축문의 길), 서신문으로 들어가 판위에서 향축로와 만나는 어로(御路ㆍ임금의 길), 그리고 신실에 보관되었던 태사(太社)ㆍ태직(太稷)ㆍᆞ후토(后土)ㆍᆞ후직(后稷)의 신위가 제단으로 나오는 신위로(神位路) 이렇게 3개의 길이다. 또 두 제단은 1미터 정도의 높이로 3단으로 축석되어 있다. 위는 하늘[天ㆍ君] 아래는 땅[地ㆍ社稷]이며 가운데는 사람[人ㆍ民]이라는 것을 연상할 수 있다. 3단 축석 중에서 가운데가 가장 두텁다. 이는 곧 사람과 백성이 가장 귀중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제단으로 오르는 사방의 계단도 계단석이 3개씩이다. 자세히 보면 또 3을 찾을 수 있다. 바로 북신문만이 삼문(三門)이다. 그렇게 정문이라는 것을 알았다. 사직단의 주인인 사신과 직신은 하늘(Heaven)에 있으며, 그 하늘은 북쪽에 있기 때문에 북문이 정문이라는 것이다.
○ 1 : 유일한 1이 있다. 바로 사단 위에 반구형의 돌이 박혀 있다. 석주(石主)라 한다. 전국의 수백 사직단 중에서도 없는데, 이곳이 바로 나라의 중심이란 뜻으로 유일하게 있다 보니 돌의 주인이라 하여 석주라 한다. 사단(社壇) 위에는 직경 30센티미터 길이 75센티 정도의 둥근 돌기둥이 남쪽 계단 쪽에 박혀있었다. 조선 땅에 400여 개의 사직단이 있었다 한다. 그중 여기 한양의 사직단이 조선 땅의 중심이며 주인이라는 것을 상징하는 의미에서 이곳에만 석주가 박혀있다고 한다.
○ 5 : 눈에 띄지 않는 ‘5’를 사직단이 간직하고 있다. 국토의 상징인 사단(社壇) 위를 덮고 있는 흙은 일반적인 흙으로 덮여 있지만, 그 안에는 오방색에 따라서 청토(동), 백토(서), 적토(남), 현토(북) 그리고 황제를 상징하는 황토(중앙)로 다섯 구역을 나눠 채워져 있다고 한다. 하지만 곡식의 상징인 직단에서는 겉과 속이 똑같이 일반적인 흙으로 채워지고 덮여 있단다.
○ 0 :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어린 왕자》의 말처럼, 이제 정말 눈에 보이지 않지만 매우 중요한 ‘영(0)’을 이야기하려 한다. 그것은 ‘나라[國]는 무엇인가’, ‘정치의 근본은 무엇인가’를 묻는 가장 중요한 질문이다.《논어》의 ‘무신불립’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 무신불립(無信不立),‘나라다운 나라’를 위하여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이 “나라를 다스리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라고 물었다. 이에 공자는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라고 하였다. “첫째는 먹는 것, 경제다(足食ㆍ족식). 둘째는 자위력, 즉 군대다(足兵ㆍ족병). 셋째는 믿음, 곧 백성들의 신뢰이다(民信之ㆍ민신지).” 자공이 다시 물었다. “그중에서 부득이 하나를 뺀다면 어떤 것을 먼저 빼야 합니까?” 공자는 군대[兵]를 먼저 빼라고 하였다. 자공이 다시 물었다. “또 하나를 부득이 뺀다면 어떤 것을 빼야 합니까?” 공자는 경제[食]를 빼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하였다.
“옛날부터 사람은 어떤 방식으로든 죽어 왔다. 그러나 백성들의 신뢰가 없으면, 나라를 제대로 세우는 것이 아니다.”
○子曰, 無信不立 자왈, 무신불립 - 《논어》안연12.07
이처럼 ‘무신불립(無信不立)’은 믿음과 의리가 없으면 개인이나 국가가 존립하기 어려우므로 신의를 지켜 서로 믿고 의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단 벗 사이의 신뢰를 이야기하는 붕우유신(朋友有信)만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나라다운 나라를 다스리는데도 신뢰가 으뜸이다. 이후에 제경공이라는 사람이 공자에게 정사를 물었다. 이에 공자는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어버이는 어버이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君君臣臣 父父子子]”라고 답하였다. 이제 계강자(季康子)라는 사람이 공자에게 정치를 물었다. 공자 대답하기를 “정치는 바르게 하는 것이다.[政者正也]” 참으로 간단하고 쉬운 대답이다. 공자에게 도(道)라는 진리를 이렇게 단순한데, 세상 사람들은 이것을 실천하기를 어려워한다.
ㅡ공자의 "무신불립"
ㅡ맹자의 "민위귀, 사직차지, 군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