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와 놀기231

온량공검양(溫良恭儉讓) 성북동 최순우 옛집, 대청에 걸린 논어 글귀. "온량공검양이득지" (溫良恭儉讓 而得之)'온량공검양(溫良恭儉讓)'은 자공이 스승 공자의 인품을 표현한 말이다. 공자께서는 따뜻하고 어질며, 공손하고 검소하며 겸양의 덕을 지녀셨다는 것이다.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스승인 강세황의 필체를 모아서 만들었다고 한다. 원문에서는 ‘以’라고 했으나 현판에서는 ‘而’로 썼다. 01학이편 10장에 나온다. 子禽問於子貢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 (자금문어자공왈 부자지어시방야 필문기정 구지여 억여지여) 子貢曰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 (자공왈 부자온량공검양이득지 부자지구지야 기저이호인지구지여) 자금이 자공께 물었다. “공자께선 어느 나라든 가실 때마다 그 나라의 정치에 관해 이야기를 나.. 2023. 11. 15.
2003 말이 곧 사람의 됨됨이라! 知言知人(지언지인) 시작과 끝은 특별하다. '學而時習(학이시습)'에서 출발한 놀기가 이제 終句, '知命爲君子, 知言知人(지명위군자, 지언지인)'에 도착했다. 앞서 12안연편에서 "生死有命-생사가 명에 달려있고", 16계씨편에서 "不學詩, 無以言.... 不學禮, 無以立.-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다...예를 배우지 않으면 바로 설 수 없다." 고 한 것을 기억한다. 결국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고,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 는 것이다. 詩를 읽고 배워야 사람을 제대로 알 수있고, 나의 命을 알아야 삶을 제대로 살아 갈 수 있나보다. 하루에 한 편의 詩를 읽어야겠다. 시를 읊어야겠다. 과 를 가까이에 두고 가을을 기다린다. 2003 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不知禮, 無以立也; 不知言,.. 2022. 8. 5.
2001-2 너그러우면 많은 사람을 얻는다-관즉득중(寬則得衆) 정권이 바뀌었다. 새 정부에 거는 기대는 제각기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나라 살림이 조금이나마 나아지고, 자유와 평화와 민주주의가 실현되고, 공정이 되살아나기를 바라는 마음은 다 똑같을 것이다. 그럴려면 "이전 정부보다는 나아지지 않습니까?" 라며 남을 깎아 내리고, "지난 정부 때도 그랬지 않습니까?"라며 치사하게 변명하지 말아야 한다. 나라의 미래를 멀리 내다보고, 현재를 바르게 선택한다. 인기에 영합하지 않되, 민심을 읽고 덕(德)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한다. 허세부려 말을 앞세우지 말고, 위기에 민첩하고 지혜롭게 대처하여 국민을 안정시켜야한다. 권력내부에서부터 공정하고 겸손하여 공감과 신의를 얻어야 한다. 그럴려면 먼저 나(공직자)에게는 엄정하고 남(국민)에게는 너그러워야한다. 2001-2 寬則得.. 2022. 7. 30.
2001 중심을 잡으라-윤집기중(允執其中) 퇴직하고서 골프를 배운다. 운동신경이 무딘 몸치인데다, 약도 오르지않고 도통 재미도 못 붙인다. 그저 심심풀이로 하니 실력도 늘지 않는다. 이런 걸 '제자리 곰배'요, '말짱 도루묵'이라 하지. 그러고보니 곰배 생김새가 골프채를 닮았네. 하하하! 그래도 친절하신 이웃분 덕에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늘 듣는 조언은 "중심을 잡으라(執中)"는 것이다. 중심이 흔들리니 뒷땅을 치고 탑볼을 때린다. 내가 잡아야 할 중심은 바로 머리였다. 그 지경에 남들하는 스크린 골프는 해보고 싶어서 신청했다. 회원가입을 하는데 ID가 필요했다. 언뜻 떠올린 말이 '자바머리' 뿐이었다. 이것을 나의 ID로 삼았다. 머리를 중심으로 잡아두고 싶은 간절한 마음이었다. 옛날 양반들은 호(號)를 지을 때에 다음의 방식을 따랐다. 정약.. 2022. 7. 28.
1913 삶과 배움 - 사이우즉학 열심히 배워야 잘 가르칠 수 있다. 가르치다보면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그래서 "가르침과 배움은 서로를 기른다(敎學相長)"고 한다. 벼슬을 하면서 배우면 벼슬하는데 이용함이 더욱 깊어지고, 배우고서 벼슬을 하면 그 배운 것을 경험하고 실천함이 더욱 넓어진다. 잘 살기 위해 배운다. 살아가는 것이 배우는 것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 삶이 끝나야 그치는 것이다. 19 13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자하왈: “사이우즉학, 학이우즉사.”) 자하가 말하였다. "벼슬하면서 여가가 있으면 배우고, 배우고서 여가가 있으면 벼슬을 한다." Tsze-hsia said, "The officer, having discharged all his duties, should devote his leisure to l.. 2022. 7. 22.
1906 가까운데서 구하다. 切問而近思 It's the heart afraid of breaking 상처 받을까 두려워하면 That never learns to dance. 결코 춤추는 것을 배우지 못하죠. It's the dream afraid of waking 꿈에서 깨어날까봐 두려워하면 That never takes the chance. 절대 기회를 갖지 못하죠. 좋아하는 팝송, '더 로즈(The Rose)' 노랫말이다. 사랑은 고통과 역경을 이겨가며 도전하면서 피어나는 장미꽃이라고 노래한다. 삶은 문제 투성이다. 피할 수 있다면 피하는게 좋다. 문제 삼지 않으면 되니깐. 그러나 언제까지 피할 수만은 없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질까 무섭다고 가만히 앉아 있을 순 없지 않은가? 넘어진 자리에서 다시 일어나듯, 문제 속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2022. 7. 14.
1905 好學의 자세, 日知其所亡 공자는 제자들에게 “나만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不如丘之好學也, 0528)”라며 당당하게 말했다. 그러면서도 호학자라며 내세운 제자가 있었다. 안회이다. 공자는 3천 여 명의 제자를 두었다. 그 중 뛰어난 제자가 77명이다. 또 그 중 빼어난 열 명을 '십대제자'라 한다. 이를 4개 과로 분류하여 '사과십철(四科十哲)'이라 하였다. 덕행에는 안연(顔淵, 이름은 회回, 자는 子淵)· 민자건(閔子騫, 이름은 손損)· 염백우(冉伯牛, 이름은 경耕)· 중궁(仲弓, 성명은 염옹冉雍), 언어에는 재아(宰我, 성명은 재여宰予, 자는 자아子我)· 자공(子貢, 성명은 단목 사端木賜),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 이름은 구求)· 계로(季路, 성명은 중유仲由, 자는 子路), 문학에는 자유(子遊, 성명은 .. 2022. 7. 10.
1901 이득을 보거든, 의로움을 생각하라 - 견득사의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삶과 목숨을 바친다는 견위수명(見危授命)은 감히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로움을 눈 앞에 두고 의로움을 생각하는 견리사의(見利思義)는 누구나 할 수 있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아이들에게 먼저 가르쳐야 할 가치관이며, 경제교육에서도 우선해야 할 일이다. 서울 남산의 백범광장에 있는 안중근의사기념관으로 현장체험 교육(여행)을 권한다. 기념관 앞에는 안의사가 옥중에서 휘호한 "견위수명 견리사의"의 새김돌이 높게 세워져 있다. 올려다보며 안의사의 삶을 생각하다가, 숙연한 마음에 절로 고개 숙여진다. 1901 子張曰: “士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 (자장왈: “사견위치명, 견득사의, 제사경, 상사애, 기가이의.”) 자장이 말하였다. "선비가 위태.. 2022. 7. 5.
1808. 可함도 없고, 不可함도 없다. 백이는 청(淸), 이윤은 임(任), 류하혜는 화(和), 공자는 시(時)의 가치를 추구하며 살았다. 청임화시(淸任和時)는 淸節ㆍ忠任(所任에 충실함)ㆍ中和ㆍ時中하는 자세를 말한다. 이중에서 나는 무엇을 우선할까? 다행히 나는 정치에 발을 딛지 않았고, 또 퇴직하니 소임도 없으며, 지금이 난세도 아니지만, 그래도 어느 일자(一字)를 좌우명으로 삼아 살아 갈 것인가? 백이는 임금 같잖으면 섬기지 않고, 백성 같잖으면 부리지 않았다. 다스려지면 나아가고 어지러우면 물러났다. 그만치 맑았다. 이윤은 “어느 누굴 섬긴들 내 임금 아니며, 어느 누굴 부린들 내 백성 아닌가?” 말하며, 다스려져도 나아가고 어지러워도 역시 나아갔다. 그렇게 소임을 다하였다. 류하혜는, 더러운 군주 섬김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작은 벼슬을 .. 2022.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