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유산의 길

우리의 산사, 이제 세계의 유산이 되다.

by 문촌수기 2018. 7. 4.

우리의 고찰, 7곳의 산사가 우리나라 13번째의 세계문화유산이 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지난 30일 오후(한국시각) 바레인에서 회의를 열어, 지난해 한국이 신청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7곳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확정했다. 등재목록에 오른 산사는
경남 양산 통도사, 경북 영주 부석사, 충북 보은 법주사, 전남 해남 대흥사, 경북 안동 봉정사, 충남 공주 마곡사, 전남 순천 선암사다.
모두 7~9세기 산속에 세워져 지금까지 법맥이 이어져온 절들이다. (한겨레 기사일부 발췌)

이들 산사는 특정 종교만의 재산과 사찰로 국한해서 생각하지 말며,
우리 모두가 이해하고 아끼며 보존해야 할 소중한 문화이다.

어릴 적부터 산사는 삶이었다. 엄마와 형님을 따라 자주 들리고 불전에 절하고 불공도 드렸다. 산과 절이 하나였고, 삶과 신앙이 한 울 안에 있었다.
그러다가 한일월드컵이 열렸던 2002년, 뜻 있는 선생님과 [@

산사로 가는 길ᆞhttp://www.korearoot.net/sansa

] 홈페이지를 제작했다.

그리고 같은 교과의 선생님과는 여름방학을 맞아 해인사 4박 5일 템플스테이에도 참여하였다.
종교와 관계없이 뭘 제대로 알아야 불교 사상을 가르칠 것 아닌가?
시작부터 하심ᆞ차수ᆞ안행ᆞ묵언(下心ᆞ叉手ᆞ雁行ᆞ默言)의 4계명을 받았다. 세상의 직업과 지위는 산사에서는 아무 것도 아니었다. 나의 마음은 가장 낮은 곳에 두어야 한다. 무엇보다 좋은 일은 묵언 수행하는 것이었다.
특별히 명을 받아, 천주교 신자이면서 참여하게 된 동기를 묻기에 "하느님은 언제나 어디에서나 계신다기에 이 산사에도 있는가 찾기위해서 왔다"고 하였다. 마지막 수계식에서 각명(覺明, '깨우쳐 밝다') 법명을 얻었다.
이제 '각명 요셉'이 되었다.
수료식에 나에게 "그래, 하느님은 찾았습니까?"라며 재차 소감을 묻기에,
"이 산사에도 하느님이 계신다는 것을 알았다. 이제 성당에서도 부처님이 계신지를 찾아보겠다."고 하였다.
참 소중하고 아름다운 추억이었다.

세계유산이 된 7곳의 산사 중에 통도사, 부석사, 법주사는 해인사, 송광사, 범어사, 수덕사 등과 더불어 나의 [산사로 가는 길] 홈페이지의 주인공들이다.
  선암사, 봉정사, 대흥사는 [산사로 가는 길]보다 1년 전(2001년)에 제작된 나의
@

한국사상 현장순례ᆞ

(

http://www.korearoot.net/sasang

) 길에서 찾았던 도량이다.

부석사는 원효의 도반이자 라이벌인 의상대사의 주석지이다.
선암사는 보조국사 지눌과 쌍벽을 이루는 대각국사 의천의 도량이다. 이곳에는 의천의 진영(보물 1044호)이 보존되어 있다. 특히 송광사로 넘어가는 산 길 속의 추억, <@

가는 길입니다.http://munchon.tistory.com/m/135'

>은 지금도 아름다운 화두가 되어 흐르며, 송광사에서 만난 우뢰와 불전사물의 울림은 천지인 묘합의 멋진 하모니였다.

봉정사는 퇴계 이황 선생님을 뵈러 하회마을에서 도산서원 가는 길에서 지나칠 수 없는 곳이기에 들렀다.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극락전이 단아하게 앉아 있고, 가까운 곳에 퇴계의 제자 김성일의 학봉종택도 있기 때문이다.

전라도 해남의 대흥사는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제자이자 조선 다도의 중심에 있는 초의선사(일지암)를 뵙고자 찾아갔다.
또한 이곳은 초의의 동갑절친 추사 김정희의 유배길 일화가 있으며, 서도가들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다. 서산대사(표충사)의 호국불교 성지이기도 하다.

~추사는 제주도 유배길에 대흥사의 초의에게 들러 대웅보전의 현판 글씨를 보고, 당장 떼라고 하였다. 유배가 풀려 돌아오는 길에는 다시 걸라고 하였단다. 누구의 글씨길래? 무엇이 그의 태도를 고치게 하였을까? 어떤 이는 이야기는 허구라고 하였다. 일리가 충분히 있다.

마곡사는 백범 김구가 명성왕후 시해 사건의 범인인 일인을 타살하고 옥에 갇혔다가 탈옥하여 은거한 곳으로 더욱 알려졌다.
@

마곡사에서 김구를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