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당(午睡堂), 낮잠자기 좋은 집!
말만 들어도 위로가 된다.
일 없이 생각 없이 낮잠에 빠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선비는 누굴일까? 나도 그 자리에 누워 낮잠에 빠지고 싶다.
또한 그렇다. '두문즉시심산(杜門卽是深山)'이라!
밖은 시끄러워도 문을 닫아 버리면 여기가 곧 깊은 산골이구나.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일일이 신경쓰며 간섭하고, 원망하며 변명하고, 일희일비할 일도 아니다. 누가 날더러 비겁하다 할지라도, 어떻게 해보겠다며 먼저 나서 애써 가르칠 일도 아니다. 내 뜻대로 되는 것도 아니다. 세상사가 시끄러워도 내 귀를 닫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면 여기가 곧 적막한 산골이다. '세상 같은 것은 더러워서 버린다'는 시인 백석(白石)의 심정도 이러한 것이 아닐까?
그냥 두자. 나를 달래자. 먼저 나를 구하자. 나를 구하지 못하고는 어느 누구도 구할 수 없다. 매화는 피었다 지고, 단풍은 물들었다 시든다. 다 때가 있다.
최순우 옛집 뒷뜨락ᆞ오수당(午睡堂)
~최순우는 단원 김홍도의 화첩에서 오수당 글씨를 찾아내고 그대로 집자하여 당호로 삼았다. 최순우는 한양도성 밖 성북동 이곳에서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서서'를 썼다.
桃紅復含宿雨, (도홍부함숙우)
柳綠更帶朝煙. (유록갱대조연)
寫與 卞穉和. 檀翁. (사여 변치화, 단옹)
복사꽃은 붉더니 간밤의 비를 머금었고,
버드나무 초록빛은 아침 안개띠를 둘렀네.
ㅡ변치화에게 그려주다. 단옹 김홍도
김홍도는 낮잠을 무척 즐겼거나 바랐던 모양이다. 그림 속에 자신의 모습을 그렸다. '고면거사(高眠居士)'라는 자호를 가진 걸 보면, 높은 베개를 좋아했던가 보다.
단옹은 왕유(王惟)의 전원락(田園樂) 싯구를 가져오면서 그림을 그렸다. 이를 일러 화중유시(畵中有詩)라던가 시중유화(詩中有畵)라던가?
왕유의 시는 이렇게 이어진다.
花落家童未掃(화락가동미소)
떨어진 꽃잎을 아이는 아직 쓸지않고
鶯啼山客猶眠(앵제산객유면)
꾀꼬리는 우는데 손님은 아직도 꿈결이다.
말만 들어도 위로가 된다.
일 없이 생각 없이 낮잠에 빠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선비는 누굴일까? 나도 그 자리에 누워 낮잠에 빠지고 싶다.
또한 그렇다. '두문즉시심산(杜門卽是深山)'이라!
밖은 시끄러워도 문을 닫아 버리면 여기가 곧 깊은 산골이구나.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그렇다고 일일이 신경쓰며 간섭하고, 원망하며 변명하고, 일희일비할 일도 아니다. 누가 날더러 비겁하다 할지라도, 어떻게 해보겠다며 먼저 나서 애써 가르칠 일도 아니다. 내 뜻대로 되는 것도 아니다. 세상사가 시끄러워도 내 귀를 닫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면 여기가 곧 적막한 산골이다. '세상 같은 것은 더러워서 버린다'는 시인 백석(白石)의 심정도 이러한 것이 아닐까?
그냥 두자. 나를 달래자. 먼저 나를 구하자. 나를 구하지 못하고는 어느 누구도 구할 수 없다. 매화는 피었다 지고, 단풍은 물들었다 시든다. 다 때가 있다.
최순우 옛집 뒷뜨락ᆞ오수당(午睡堂)
~최순우는 단원 김홍도의 화첩에서 오수당 글씨를 찾아내고 그대로 집자하여 당호로 삼았다. 최순우는 한양도성 밖 성북동 이곳에서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서서'를 썼다.
桃紅復含宿雨, (도홍부함숙우)
柳綠更帶朝煙. (유록갱대조연)
寫與 卞穉和. 檀翁. (사여 변치화, 단옹)
복사꽃은 붉더니 간밤의 비를 머금었고,
버드나무 초록빛은 아침 안개띠를 둘렀네.
ㅡ변치화에게 그려주다. 단옹 김홍도
김홍도는 낮잠을 무척 즐겼거나 바랐던 모양이다. 그림 속에 자신의 모습을 그렸다. '고면거사(高眠居士)'라는 자호를 가진 걸 보면, 높은 베개를 좋아했던가 보다.
단옹은 왕유(王惟)의 전원락(田園樂) 싯구를 가져오면서 그림을 그렸다. 이를 일러 화중유시(畵中有詩)라던가 시중유화(詩中有畵)라던가?
왕유의 시는 이렇게 이어진다.
花落家童未掃(화락가동미소)
떨어진 꽃잎을 아이는 아직 쓸지않고
鶯啼山客猶眠(앵제산객유면)
꾀꼬리는 우는데 손님은 아직도 꿈결이다.
'길 위의 인문학-문사철 인문학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스님과 어린 왕자. (0) | 2018.12.17 |
---|---|
심우장의 주인공들 (0) | 2018.12.14 |
최순우 옛집, 오수당 뜨락에서 (0) | 2018.12.10 |
한 여인의 이름ㅡ진향과 자야, 나타샤와 길상화 (0) | 2018.12.03 |
길상사 계추 (0) | 2018.12.02 |
길상사 관음 보살과 법정스님 (0) | 2018.11.28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