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북동산책 그림이야기28

간송미술관을 찾다. 간송 전형필. 그의 문화보국에 무한 감사하다. 나라는 빼앗겨도 우리의 문화재를 지켜내고 되찾았다가 광복한 조국과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전해주었다. 간송의 문화재를 수장해온 성북동의 간송미술관 재개관전 '보화각 1938'을 찾았다. 간송이라는 호를 지어준 사람은 오세창이다. 간송은 산골물 ‘澗’자와 소나무 ‘松’자로 한겨울에도 얼지 않고 흐르는 물과 그곳에 자리를 지키고 있는 소나무란 뜻이다. 아마도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라는 뜻으로 지어준 까닭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설박물관인 보화각(葆華閣)의 이름도 오세창이 지어줬다. '빛나는 보배를 모아두는 집'이란 뜻이다.■간송미술관 재개관전 안내문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1906-1962) 선생의 고미술품에 관한 관심은 1928년으로 거술러 올라갑니다. 당시 .. 2024. 6. 19.
수연산방에서 간송미술관 오후 3시 입장을 기다리며 수연산방을 찾았다. 찻집이 된 수연산방을 찾은 손님은 마당 파라솔까지 가득찼다. 그래도 다행히 실내 자리를 잡았다. 아무도 없는 별칸 내실, 벽에 걸린 사진을 읽고 시원한 에어컨 바람에 빙수를 먹으며, 이중섭과 청전 이상범 그림 도록을 한권 씩 나눠 감상하며 여유있게 담소도 즐겼다.https://munchon.tistory.com/m/1291 2024. 6. 18.
성북구립미술관과 거리 미술관 복자수도회ㆍ덕수교회ㆍ수연산방이 지척으로 한자리에 모인 곳에 성북구립미술관이 있다. 대체로 입장료도 없이 좋은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마침 유근택 화가의 '오직 한사람' 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 그 오직 한사람은 누구일까? 유근택: 오직한 사람 YOO GEUN-TAEK:ONE, BUT ALL 성북구립미술관은 성북동에 오래 거주하며 성북을 작품의 배경이자 삶의 터전으로 삼은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작가 유근택(柳根澤, 1965-)과 함께 2024년 기획전시 «유근택: 오직 한 사랍»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전통 수묵화를 현대적 시각으로 해석하고, 실험적인 재료와 자신만의 기법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이어온 작가 유근택의 개인전입니다. 30여 년이 넘는 작가 활동을 이어온 유근택의 작품 세.. 2024. 6. 18.
성북동 이종석 별장 순교복자 피정의 집 앞에 덕수교회가 있다. 덕수교회 담장 오른편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가면 그 오른쪽에 한옥 별장이 있다. 이 별장은 조선 말기의 부호이자 보인학원의 설립자인 이종석(1875~1952)의 여름 별장으로 1900년 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이곳 일관정에서 이태준, 정지용, 이효석, 이은상 등 문학인 들이 모여 문학활동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성북동 이종석 별장 지정번호: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0호 시대: 1900년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1 성북동 서쪽 산자락에 위치한 이 집은 마포에서 새우젓 장사로 부자가 된 이종석이 별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한옥이다. 우물이 있는 바깥마당을 지나 일각문 대문을 들어서면 왼편에 행랑채 오른편에 본채가 있다. 행랑채는 특이하.. 2024. 6. 17.
한국복자순교 수도회, 피정의 집 한국 최초의 순교자상과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옛 본원 길상사를 넘어 수연산방을 찾아 내려오는 골목길에 복자교 바로 옆에 천주교 수도회 건물이 있다. 길건너 편에는 덕수교회가 형제처럼 마주하고 있다. 이곳 천주교 피정*의 집은 성북동에서 가장 최근 문화재가 된 건축물이다. 한국순교복자 성직수도회의 옛 본원으로, 성북천변 옆으로 보이는 고풍스러운 가톨릭 건물이다. 복자는 준(準) 성인을 의미하는데 순교자적 정신을 실천하려는 창설 이념이 그 이름에서 엿보인다. 1946년 개성에서 한국순교복자 수녀회를 창설한 방유룡 신부(1900-1986)가 남자 수도회를 창설하고 1957년 지금의 성북동 자리에 본원 건립을 하였다. 구조는 전형적인 라틴 십자형 평면으로 한국인 신부에 의해 설계된 최초의 수도원 건물인 점이 특.. 2024. 6. 16.
길상사에서 공양 아침에 길을 나서서 왔기에 호젓하게 길상사 경내를 산책할 수 있었다. 푸른 나뭇잎들에게 포근히 안기고 산새소리와 시원한 그늘, 개울에 흐르는 물소리에 온전히 젖어서 모든 것이 평화로웠다. 늘 그러했듯이 성모마리아를 닮은 보살님께 인사드리고 칠층 석탑을 돌아, 송월각 앞을 지나 길상선원으로 조용히 올라갔다. 항상 닫혀있는 송월각의 아치문은 오늘도 이방인의 가슴을 설래게 한다. 진영각에서 법정스님을 뵙고, 눈 마주 앉아 생각을 잊었다. 길상화 사당을 찾아 내려가는 길 벤치에 앉아서 적묵당을 올려다보며 이 고요와 한적함에 감사했다. 고개를 돌려 계곡에 앉아 있는 관세음보살 반가사유상을 바라보며 글을 읽었다. 지극한 도는 어려움이 없나니 오직 분별하는 것을 꺼릴 뿐이라. 사랑하고 미워하지 않으면 툭트여 명백하리.. 2024. 6. 15.
법정스님과 맑고 향기롭게 길상사 진영각에 들어와 한적하게 법정스님 영정 앞에 앉았다. 평일 오전이라서 그런가? 유월 상순인데도 벌써 30도를 넘나드는 무더위라서 그런가? 내방객들이 드물었다. 법정스님이 전하는 말씀(글씨)들이 찬찬히 눈에 들어왔다...차근히 따라 읽으며, "예 그렇게 새기겠습니다."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 속으로 대답하였다. 진영각 쪽마루 왼편에 놓인 이 의자는 내겐 특별하다. 법정스님이 손수 만드시고' 빠삐용 의자'라며 이름하였던 그 의자인지 아닌지는 몰라도, 나는 빠삐용과 '어린왕자의 의자'를 연상하며 길상사에 들릴 적마다 각별히 대한다. ♡ 법정스님과 어린왕자 이야기 https://munchon.tistory.com/m/1248 2024. 6. 13.
화합의 상징, 길상사 7층 석탑 종교 화합의 의미를 전하는 길상7층보탑(吉祥七層寶塔)은 조선 중기(1600~1650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지혜와 용맹을 상징하는 네마리의 암수 사자가 기둥 역할을 하며 입을 연 두 마리는 교(教)를 상징하고, 입을 다문 두 마리는 선(禪)을 상징한다.4사자 가운데 모셔진 석가모니 부처님의 수인手印은 정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선정인(禪定印),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통인通印(시무외인施無畏印+여원인與願印), 전법륜인(轉法輪印)을 하고 있다. 선정인항마촉지인통인(오른손, 시무외인+왼손, 여원인)전법륜인이 탑은 영안모자 백성학 회장님이 법정스님과 길상화보살님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 종교화합의 의미를 전하고자 무상으로 기증하였으며 2012년 11월 11일 기단부에 오장경, 금강저, 오불(五佛), 108침향염주.. 2024. 6. 13.
성북동 박태원 집터 성북동의 수연산방을 찾기 전에는 박태원이 누군지 몰랐다. 구인회(九人會, 1933-1936) 회원이었다고 한다. 그래도 학창시절 배운 기억도 없고 관심도 없었다. 이제 수연산방의 주인인 이태준을 듣고, 시인 이상과 정지용을 알고부터 박태원을 듣게 되었다. 그리고 그가 영화감독 봉준호의 외할아버지라는 사실만으로 관심이 크게 끌렸다. 월북작가였기에 우리 문단에서 오랫동안 잊혀져 있었던 것이다. 박태원은 일제강점기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홍길동전', '천변풍경' 등을 저술한 소설가이다. 1909년에 태어나 1986년에 사망했다. 청소년기부터 시와 콩트를 발표하며 문학소년의 길을 걷다가 일본에 잠시 유학했고 1930년부터 소설가로 활동했다. 본격적으로 문단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33년 이상, .. 2023.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