效(효) 본받다 / 嚬(빈) 찡그리다 서양의 최고 미인을 클레오파트라라고 한다면 동양의 絶世美人(절세미인)은 대개 '楊貴妃(양귀비)'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중국의 역사를 보면 진정한 전설적인 미인은 양귀비가 아닌 '西施(서시)'라는 여인입니다. '吳越同舟(오월동주)' '臥薪嘗膽(와신상담)'의 고사에 등장하는 여인이 바로 西施(서시)입니다. 西施(서시)가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남자들이 서시의 얼굴을 한 번만이라도 보려고 항상 집 앞에서 기다리고 있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서시에게는 어려서부터 가슴앓이 병{심장병}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가슴이 아플 때면 얼굴을 찡그리곤 했는데, 그 찡그리는 모습이 평소의 얼굴보다도 더 아름다웠답니다. 이야기는 여기서 시작됩니다. 서시가 살고 있던 강 건너 마을에 '東施(동시)'라는 처녀가 살고 있었는데, 동시는 서시와는 반대로 추녀(醜女) 중의 상추녀였습니다. 자신의 못생긴 얼굴을 비관해서 항상 집 밖을 나오지 않고 지내던 '동시'가 서시의 찡그리는 모습에 남자들이 기절할 정도로 좋아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것입니다. 찡그리는 것이라면 자기도 자신이 있다고 생각한 동시가 집 밖으로 나와 지나가던 남자들 앞에서 얼굴을 찡그리며 다가서는 모습이 어떨지 상상이 가십니까? 그래서 생겨난 고사가 效嚬(효빈)입니다. '찡그림을 본받는다'는 의미의 效嚬(효빈), 맹목적으로 남을 따라하는 상황을 이 고사에 비유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效嚬(효빈)의 고사를 소재로 지어진 우리나라 실학자의 거목인 茶山(다산) 丁若鏞(정약용)의 라는 漢詩(한시)[다산은 자신의 시들을 朝鮮詩(조선시)라 명명했습니다.] 한 편을 소개합니다. < 아래 한시 해설은 송재소 저 《다산시연구(茶山詩硏究)》에서 인용했습니다. >
♡♡♡♡♡♡♡
동시의 찡그린 얼굴(題東施效嚬圖)
푸른 치마 곱사등이 저 여자가 누구더냐
저라산(苧羅山) 밑 감호(鑑湖) 가에 살던 여자네
봉두난발 붉은 머리 꾸불꾸불 흩어지고
삐뚤삐뚤 성긴 이빨 퍼렇게 드러나네
몸에는 때 끼어 서 말은 족히 되고
방안에 쌓인 먼지 천 섬이 넘네
등에는 옴딱지 두꺼비 족속이요
턱밑 살 늘어져 바다 새 무리로다
길가에 나서면 놀림받기 일쑤이고
문간에 들어서면 개들마저 짖어대네
더러운 그 꼴에 맘씨까지 곧지 못해
바람 앞에 맵시 내며 기지개 펴는 그 꼴이란
콧부리는 부풀어 당긴 활의 형상이요
눈썹 끝은 찌푸려져 도깨비 트림하네
용감한 자 손벽 치고 겁 많은 자 달아나니
구자마모(九子魔母) 귀신이 이 얼굴에 내려온 듯
자기 동네 서쪽에 서시(西施)가 살아
그에게서 배웠다고 제딴엔 말하지만
서시 본래 아름다워 찡그림도 고왔으나
네 얼굴의 찡그림은 본 얼굴만 못하도다.
아! 찡그림 흉내냄이 어찌 너뿐이랴
세상에 이런 일 나는 많이 보았노라
강좌(江左)사람 모두 다 굽 높은 신 신었는고
업하사람 모두 다 절각건(折角巾) 썼었지
호랑이 그리다 따오기 되어도
뻔뻔스레 부끄럼도 모르는데
가는 허리 긴 달비 어찌 족히 나무라랴
한단(邯鄲)의 걸음걸이 수릉(壽陵) 것만 못하였고
우맹(優孟)의 변장술도 손숙오(孫叔敖)는 못되느니
태어날 때 체질은 제각기 다르건대
어이하여 남만 따르고 나를 버리려느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못생긴 여자 동시(東施)의 이야기는 중국 전래(傳來)의 우화(寓話)다. 이 전래의 우화에 시(詩)의 옷을 입힌 것이 이 작품이다. 후반부에서 여러 가지 예를 들어 동시(東施)의 이야기를 보충 설명하고 마지막에 뚜렷한 결론을 내림으로써 시로서의 짜임새가 흐트러지긴 했으나 동시의 외모나 성격 묘사는 매우 사실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 시에 주목하게 되는 이유는 다산의 주체의식이 강하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맹목적으로 남의 것을 모방하는 노예사상에 대한 경계(警戒)가 이 작품의 주제인데 이것은 중국문화권의 종속상태로부터 벗어나려는 다산의 주체성의 원리로 되어 있다. "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돌아볼 때, 자신의 주체성을 잃고 있지는 않은가를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는 개인을 넘어 우리 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입니다.
♡♡♡♡♡♡♡
동시의 찡그린 얼굴(題東施效嚬圖)
푸른 치마 곱사등이 저 여자가 누구더냐
저라산(苧羅山) 밑 감호(鑑湖) 가에 살던 여자네
봉두난발 붉은 머리 꾸불꾸불 흩어지고
삐뚤삐뚤 성긴 이빨 퍼렇게 드러나네
몸에는 때 끼어 서 말은 족히 되고
방안에 쌓인 먼지 천 섬이 넘네
등에는 옴딱지 두꺼비 족속이요
턱밑 살 늘어져 바다 새 무리로다
길가에 나서면 놀림받기 일쑤이고
문간에 들어서면 개들마저 짖어대네
더러운 그 꼴에 맘씨까지 곧지 못해
바람 앞에 맵시 내며 기지개 펴는 그 꼴이란
콧부리는 부풀어 당긴 활의 형상이요
눈썹 끝은 찌푸려져 도깨비 트림하네
용감한 자 손벽 치고 겁 많은 자 달아나니
구자마모(九子魔母) 귀신이 이 얼굴에 내려온 듯
자기 동네 서쪽에 서시(西施)가 살아
그에게서 배웠다고 제딴엔 말하지만
서시 본래 아름다워 찡그림도 고왔으나
네 얼굴의 찡그림은 본 얼굴만 못하도다.
아! 찡그림 흉내냄이 어찌 너뿐이랴
세상에 이런 일 나는 많이 보았노라
강좌(江左)사람 모두 다 굽 높은 신 신었는고
업하사람 모두 다 절각건(折角巾) 썼었지
호랑이 그리다 따오기 되어도
뻔뻔스레 부끄럼도 모르는데
가는 허리 긴 달비 어찌 족히 나무라랴
한단(邯鄲)의 걸음걸이 수릉(壽陵) 것만 못하였고
우맹(優孟)의 변장술도 손숙오(孫叔敖)는 못되느니
태어날 때 체질은 제각기 다르건대
어이하여 남만 따르고 나를 버리려느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못생긴 여자 동시(東施)의 이야기는 중국 전래(傳來)의 우화(寓話)다. 이 전래의 우화에 시(詩)의 옷을 입힌 것이 이 작품이다. 후반부에서 여러 가지 예를 들어 동시(東施)의 이야기를 보충 설명하고 마지막에 뚜렷한 결론을 내림으로써 시로서의 짜임새가 흐트러지긴 했으나 동시의 외모나 성격 묘사는 매우 사실적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 시에 주목하게 되는 이유는 다산의 주체의식이 강하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맹목적으로 남의 것을 모방하는 노예사상에 대한 경계(警戒)가 이 작품의 주제인데 이것은 중국문화권의 종속상태로부터 벗어나려는 다산의 주체성의 원리로 되어 있다. "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돌아볼 때, 자신의 주체성을 잃고 있지는 않은가를 다시 한번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는 개인을 넘어 우리 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입니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왈 맹자왈....지금 하버드에선 동양사상열풍(마이클 푸엣) (0) | 2016.05.03 |
---|---|
‘중화의 스승’으로 다시 태어난 공자 (0) | 2016.05.03 |
조선일보 뉴스ㅡ 북한과 직접 맞닿은 경기도의 '안보교육' 정책 (0) | 2015.05.13 |
[사이언스 팩토리] Why do we need creativity?(Eng) (0) | 2015.04.12 |
창의는 어디에서 오는가? - 동영상 (0) | 201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