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에서의 학(學)을 검색하니, 64회 나온다. 언제 다 배워 제대로 살 수 있을까? 물어보지만, 산다는 것 그 자체자 배운다는 것이다. 살아가는 것은 문제 해결의 과정이며, 배운다는 것은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것. 그래서 공자님께 배움(學)을 묻고 들어본다. 틈틈이 한 구절씩 묻고 들은 말씀을 적어보고자 한다.
01‧01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 而不慍, 不亦君子乎?”
01‧06 子曰: “弟子, 立則孝, 出則悌,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 배움도 좋지만, 먼저 삶의 도리 실천
01‧07 子夏曰: “賢賢易色; 事父母, 能竭其力; 事君, 能致其身; 與朋友交, 言而有信.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 배움과 실천
01‧08 子曰: “君子不重, 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01‧14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 배움을 좋아하다.
02‧0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배움에 뜻을 두다.
02‧15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 배움과 생각의 연결
02‧18 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 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 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05‧15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 인문학을 하는 자세
05‧28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 호학
06‧03 哀公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 호학
06‧27 子曰: “君子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 널리 배움
07‧02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 배움의 자세
07‧03 子曰: “德之不修,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07‧17 子曰: “加我數年, 五十以學易, 可以無大過矣.” ~ 역을 배움
07‧34 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
08‧12 子曰: “三年學, 不至於穀, 不易得也.”
08‧13 子曰: “篤信好學, 守死善道.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08‧17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 배움의 자세
09‧02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09‧30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11‧03 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 宰我, 子貢. 政事: 冉有, 季路. 文學: 子游, 子夏.
~ 공자의 제자들 중 문학에 빼어난 자들은? 자유와 자하
11‧07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11‧25 子路使子羔爲費宰. 子曰: “賊夫人之子.”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禝焉, 何必讀書, 然後爲學?”
子曰: “是故惡夫佞者.”
11‧26 子路 曾晳 冉有 公西華侍坐.
................. 對曰: “非曰能之, 願學焉. 宗廟之事, 如會同, 端章甫, 願爲小相焉.”
13‧04 樊遲請學稼. 子曰: “吾不如老農.” 請學爲圃. 曰: “吾不如老圃.”
(14‧23 子曰: “君子上達, 小人下達.”) ~ 군자는 형이상학, 소인은 형이하학
14‧24 子曰: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 누구를 위해 공부하나?
14‧35 子曰: “莫我知也夫! 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 子曰: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知我者其天乎!”
15‧01 衛靈公問陳於孔子. 孔子對曰: “俎豆之事, 則嘗聞之矣; 軍旅之事, 未之學也.” 明日遂行.
15‧02 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 子路慍見曰: “君子亦有窮乎?” 子曰: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
15‧03 子曰: “賜也, 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 對曰: “然, 非與?” 曰: “非也, 予一以貫之.”
15‧31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
15‧32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16‧09 孔子曰: “生而知之者上也, 學而知之者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16‧13 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對曰: “未也. 嘗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詩乎?’ 對曰: ‘未也.’ ‘不學詩, 無以言.’ 鯉退而學詩. 他日, 又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禮乎?’ 對曰: ‘未也.’ ‘不學禮, 無以立.’ 鯉退而學禮. 聞斯二者.”
~ 시를 배우지 않으면 제대로 말할 수 없고, 예를 배우지 않으면 제대로 설 수 없다.
17‧04 子之武城 ,聞弦歌之聲. 夫子莞爾而笑, 曰: “割雞焉用牛刀?”
子游對曰: “昔者偃也聞諸夫子曰: ‘君子學道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也.’”
~ 도를 배워야
17‧08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居! 吾語女.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17‧09 子曰: “小子何莫學夫詩? 詩, 可以興, 可以觀, 可以羣,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
19‧05 子夏曰: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
19‧06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 박학 독지 절문 근사
19‧07 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19‧13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19‧22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子貢曰: “文·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논어와 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01 가는 세월 (0) | 2022.03.15 |
---|---|
'정치, 똑바로 해주셔요.' 대통령 당선인에게 (0) | 2022.03.09 |
논어 속의 독서 - 선진편 1125 (0) | 2022.01.31 |
1613 시와 예를 배우는 까닭은? (0) | 2022.01.22 |
1611 선을 보면 미친 듯 해야 한다. (0) | 202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