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1/272

다락(茶樂)- 음다오품 차를 단순히 대화를 위하고 맛이나 약으로만 마시지는 않는다. 차를 마시며 더해지는 즐거움도 많다. 차와 단둘이 데이트하며 오감으로 느끼고 사랑한다면 그것도 행복 더하기가 될 것이다. 누가 다선일미라 했던가? 온전히 차와 마주하면 절로 선(善)해지며, 선(禪ᆞ仙)에 다가간다.[히비스커스 허브차]찻물을 내릴 때 채워지는 맑은 소리, 차가 우려질 때 차호 속에서 깨어나는 찻잎의 기지개 펴는 소리를 듣는 귀의 즐거움. 고운 차호와 찻잔을 바라보고, 우려진 차의 투명하고 맑은 색깔을 감상하는 눈의 즐거움. 찻잔을 들어 마시기 전에 먼저 전해오는 차향을 맡는 코의 즐거움. 한모금 머물고 혀를 굴리며 그 맛을 보는 입속의 즐거움. 비운 차호나 찻잔을 감싸쥐고 간직하고 있던 온기를 받아들이는 손의 즐거움. 음다(飮茶).. 2020. 1. 27.
다락(茶樂), 차호의 삼수삼평 아직 설레임을 갖고 산다는 것은 행복하다. 좋은 차를 기다리다보면 설레고, 우려 처음 마실 때 그 맛이 설렌다. 또한 예쁜 차호를 구해 바라보고 어루만질 때도 더 설렌다. '완물상지(玩物喪志)'라며 경계하지만, 내 분수에 넘치지도 않는데 이 정도로 내 뜻이 상하랴? 이것도 즐기지 못하면 무슨 낙이 있겠는가? 오늘같이 눈물 가득 머금은 하늘에는 눈이라도 펑펑 내리면 더없이 좋겠다. 그 바램으로 차를 홀짝 마시며 아침부터 차호를 갖고 논다. 새삼 차호를 애무하며, 삼수ᆞ삼평을 이야기한다. 삼수(三水)란 출수, 절수, 금수를 말한다. 출수(出水)는 차(물)를 따를 때 목표지점인 다완이나 찻잔에 포물선을 그리며 한줄기로 시원하게 떨어지는 것을 말하고, 절수(切水)란 는 차따르기를 멈추었을 때 차호 물꼭지에서 찻.. 2020.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