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과 미술

BAC,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by 문촌수기 2024. 7. 14.

손민수의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전곡 연주시리즈 II,
피아노협주곡 4, 5번
2024. 7. 14. 17시
부천아트센터 콘서트홀

"그 제자에 그 스승!
임윤찬은 그의 스승, 손민수를 닮았구나."

베토벤 피아노협주곡 제4번 연주를 보고 인터미션 시간에 아내한테 한 말이다. 아내도 맞다면서 공감했다.
작년에 다큐멘터리 영화, <크레센토>를 보고 2022년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우승한 임윤찬을 알았다. 임윤찬은 우승 직후 수많은 학교에서 유학에 대한 러브콜이 들어왔었고, 어떤 결정을 내릴 지 기자가 물었을 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너무 좋은 교육의 기회들에 대해 저에게 얘기해주시고, 모든 곳이 익히 명문 학교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이미 한국에 훌륭하고 좋은 스승님이 있습니다. 앞으로의 공부 방향이나 모든 것들을 선생님과 상의하고 결정해 나가겠습니다.”

도대체 그의 스승은 누구일까? 그 스승은 얼마나 보람될까? 그 제자를 알고 난 후에 그의 스승인 손민수를 알게되었다.

임윤찬과 스승 손민수

피아노 협주곡 4번
https://youtu.be/rD7aAq6yvJo?si=a9zYloOkEWMciYuM

가장 우아한 혁신의 순간,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
              
ㅡ 글, 음악평론가 신예슬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에서 가장 부드러우면서도 혁신적인 부분은 바로 1악장의 첫 프레이즈다. 피아노는 고요 속에서 단정한 화음에 얹힌 선율을 연주한다. 이 사색적인 도입부는 이전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에서 결코 쓰인 적 없는 형태였다. 베토벤은 오케스트라의 풍성한 음향으로 피아노의 등장을 멋지게 예비하는 대신, 피아노 소나타에서 들을 수 있을 것만 같은 프레이즈로 협주곡 4번을 시작한다. 오케스트라는 그 흐름을 깨지 않고 거기에 이야기를 덧붙여 나가며 점점 그 세계를 넓혀나간다. 오케스트라가 아닌, 피아노로부터 시작하는 혁신적인 도입부였다.
이 작품이 초연된 것은 1808년 12월의 어느 날이었다. 베토벤은 장장 네 시간에 걸친 공연을 기획했다. 운명 교향곡과 전원 교향곡, 그리고 합창 환상곡을 비롯해 피아노 협주곡 4번까지, 엄청난 대작들을 한자리에서 초연하는 날이었다. 그날 한자리에서 이 작품들을 들은 청중들은 운명 교향곡과 피아노 협주곡 4번 1약장에서 지배적으로 쓰인 리듬이 같지만, 전혀 다른 효과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을 것이다. 운명이 방문을 노크하는 것만 같았던 그 리듬은 이 곡에서 훨씬 낙관적이면서도 느긋한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건반을 망치처럼 거칠게 두들겨대거나, 변덕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급격하게 흐름을 바꾸는 순간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그보다는 정교한 기고, 레가토와 트릴 등, 피아니스트의 섬세한 터치와 표현이 요구되는 프레이즈가 곳곳에 가득했고, 이 1악장에서 피아니스트는 오케스트라를 이끄는 영웅적인 협주자가 아닌, 부드럽게 노래하듯 연주하는 이에 가까웠다.
그런 면모는 2악장에서 더욱더 강조된다. 피아노는 1약장에서보다 더욱 서정적이고 평화로운 프레이즈를 연주한다. 오케스트라는 여기에 격렬하게 반발하듯, 거친 음향을 만들어낸다. 다시 피아노는 한치의 혼들림도 없이 부드러운 연주를 이어간다. 오케스트라는 계속 저항하려 하지만 평온함을 잃지 않는 피아노의 흐름에 따라 결국 한껏 누그러진다. 오페라의 한 장면 같은 이 2악장에서 어떤 이들은 신화 속한 장면, 음악으로 야생의 짐승들을 길들였던 오르페우스의 이야기를 떠올렸다.
3악장은 2악장의 끝점에서 바로 쉼 없이 이어지는 론도 악장으로, 3악장에서만큼은 통상적인 론도처럼 가뿐한 흐름을 이어간다. 리드미컬한 주제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조의 론도지만, 베토벤의 음악이 무르익을 대로 무르익은 시점에 쓰인 만큼 베토벤 협주곡의 피날레 중 손꼽힐 정도로 우아하고 세련된 움직임을 만들어간다.
피아노 협주곡 4번은 여러 측면에서 독창적인 작품이다. 협주곡의 전형에서 벗어난 도입부, 오페라 속 극적인 대화처럼 구성된 느린 악장, 독주자와 오케스트라의 더욱 다채로워진 관계까지 이 작품에서 피아니스트는 오케스트라와 대화를 주고받고,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하다가도 마치 한 몸인 것처럼 상대의 프레이즈에 아름답게 뒤섞여 들어가야 한다. 한껏 화려하게 도드라져야 하는 협주자로서의 매력을 살리는 동시에, 마치 실내악에서처럼 내밀한 감정을 섬세히 표현해야 한다. 초연 이후, 멘델스존에 의해 재발견되기 전까지 이 작품이 한동안 연주되지 못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혁신적이면서도 까다로운 면모 때문이었을 것이다.
앞선 세 곡의 피아노 협주곡과 마찬가지로 이 작품의 초연 당시 피아노 협연 또한 베토벤이 직접 맡았다. 이미 그의 청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손상된 상태였던 만큼, 이 곡은 베토벤이 직접 초연한 자신의 마지막 협주곡이자, 뛰어난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던 베토벤 인생의 마지막 협연곡이 됐다.

피아노 협주곡 5번
https://youtu.be/mRoTR5ta9e4?si=_eLgfADRB0vdSkpJ

가장 화려하고 영웅적인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ㅡ 글, 음악평론가 신예슬

한때 베토벤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얼렬한 추종자였다. 그가 교향곡 3번을 쓰던 당시, 악보 표지에 '보나파르트'라는 이름을 써두었으나 나폴레웅이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크게 실망해 그 이름을 지우고 '영웅'으로 바꿔썼다는 일화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 탓에, 어떤 이들은 시기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황제라는 별명을 지닌 피아노 협주곡 5번 또한 나폴레옹을 염두에 둔 것으로 오해하곤 한다. 하지만 작품의 배경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정반대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베도벤이 한창 이 협주곡을 쓰던 당시,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와 전쟁 중이었고 나폴레옹의 군대는 빈을 포위하고 있었다. 그의 제자와 친구, 후원자들이 모두 도시를 떠났고, 베토벤을 비롯한 남은 이들은 지하실에 피난처를 마련해 웅크리고 있었다. 베토벤은 얼마 남지 않은 청력을 보호하기 위해 베개로 귀를 막았다. 그는 출판사에 이런 전언을 보냈다. "북, 대포, 온갖 종류의 인간적 불행 외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대" 포격은 마침내 오스트리아군이 항복한 이후에야 비로소 멈추었다.
하지만 그 전쟁의 불행을 딛고, 베토벤은 다시 창작에 매진했다. 그런 과정을 겪고 완성된 이 곡이 '황제'라 불리게 된 테에는 여러 이유가 거론되는데, 하나는 출판사에서 그런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라는 추측, 그리고 다른 하나는 초연날 있었던 엄청난 반응 때문이라는 추측이다. 이 작품은 1812년 2월, 빈에서 칼 체르니의 연주로 초연됐는데 당시 빈에 주둔하던 프랑스군 장교가 그 초연을 듣고 큰 감명을 받아 이렇게 크게 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C'estr 'Empereur!"(황제다)

1악장은 그야말로 피아노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는 듯한 화려한 음향으로 시작된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묵직한 화음 위에서 피아니스트는 건반을 오르내리며 등장해 앞으로 펼쳐질 대서사시의 서막을 연다. 이후 행진곡풍의 주제가 연주되고 여기에 금관이 가세하며 웅장한 분위기가 형성되지만, 베토벤은 이를 그저 군대풍의 이야기로 머무르게 두지 않고 '부드럽게(dolce)' 연주되는 달콤한 선율들을 들려주며 강인합과 부드러움을 절묘하게 교차한다. 아름다운 피아노 선율과 음형은 협연자의 연주에 한껏 귀기울이게 하며, 그에 맞물리는 탁월한 오케스트레이션은 교향악적 합주를 듣는 즐거움까지 선사한다
2악장은 지극히 아름답게 노래하는 듯한 악장이다. 오케스트라는 낮고 풍성한 화음들을 연주하고, 피아노는 그 화성 위에서 얇고 고운 음색으로 미끄러지듯 노래한다. 어떤 순간엔 단정한 피아노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던 이의 모습이 떠오를 정도다. 충분히 노래한 뒤, 피아노는 다시 오케스트라와 자리를 바꾸어 현악기와 목관악기들의 솔로 파트를 반주한다. 고요한 밤중에 노래
와 반주를 주고받는 것 같았던 이 2악장은 어둠 속으로 사그라들다가 서서히 밝은 해를 맞이하는 것처럼 3악장으로 곧장 이어진다. 밤이 낮으로 변하는 것 같은 그 신비로운 순간은 부드러운 호른의 지속음으로 이어진다. 기분 좋은 상승의 움직임을 가득 담은 이 마지막 론도 피날레에서는 승전보를 물리는 것 같은 오케스트라의 강렬한 프레이즈, 그리고 피아노의 우아하면서도 화려한 움직임이 특히 돋보인다.
초연이 끝난뒤 누군가 황제다대라고 외쳤다는 이야기를 온전히 믿을 수는 없지만, 이 작품이 황제라는 이름을 가질만한 음악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 어떤 앞선 협주곡보다도 위엄있고 영웅적이면서도 근사한 이 곡은 그 뛰어난 작품성으로 오늘날까지도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하고 있다.

커튼콜 장면

손민수는 앵콜곡으로 포레(Gabriel Faure)의 Romance sans parloles,
Op.17 No3 (무언가 작품 17번 중 3번)가 연주하였다.

손민수앵콜-포레.mp3
2.14MB

'음악과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C 이승원과 슈베르트  (0) 2024.07.06
BAC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0) 2024.06.29
BAC,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  (0) 2024.06.26
BAC, 레퀴엠  (1) 2024.06.21
BAC, A long time ago  (0) 2024.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