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와 놀기

0108 -2 과즉물탄개, 허물이 있으면 고쳐라.

by 문촌수기 2020. 4. 19.

병이 있어도 병으로 여기지 않으니 그것이 고질(痼疾)이요, 자신의 무지를 모르니 그것이 진짜 무지(無知)이다.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라고 한 것도 자신의 무지를 알라라는 뜻이다. 허물이 있어도 고치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큰 잘못이다.
배고픈 이가 밥을 찾듯이, 내 병을 안다면 치료에 힘쓰고, 내 무지를 안다면 배움에 매진하고, 내 허물을 안다면 고치기를 꺼리지 않는다. 병을 고치고 허물을 고치려면 모름지기 자기에게 충실해야 하며, 다짐하고 약속한 것은 지켜야 한다.
'충(忠)' 에서 자기 마음[心]이 흔들리지 않게 중심(中心)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의미를 찾았다. 그래서 직분에 충실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신(信)'에서 사람[人]의 말[言]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뜻을 찾았다. 그래야만 신의가 있는 사람이 된다.
나는 충과 신(忠信)으로 수신하고자 한다.

01-08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군자는) 충실과 신의를 (삶의 지침으로) 주로 삼으며, 자기보다 못한 이를 벗삼지 않으며,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Hold faithfulness and sincerity as first principles.
Have no friends not equal to yourself.
When you have faults, do not fear to abandon them."

주충신...과즉물탄개

더하기+
# 交友
설문해자에서 보는 벗 우(友)는 두 손(又+又)이 위아래로 놓여 있다. 위 아래의 두손이 마주잡고 있다. 그러니 위의 손이 아래 손을 잡아 일으켜 주고 위로 올려주는 모습이다. 벗의 사귐은 이래야한다. 비록 '나보다 못한 자를 벗삼지 말라' 하셨지만, 이 말씀은 '나보다 못한 자를 본받지 말고' 벗을 사귐에 반면교사로 삼고 책선(責善)하며 사귈 것을 권한 것이다.

# 비주얼 싱킹 공부놀이
친구와 함께 하는 우정 시화
https://munchon.tistory.com/m/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