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이야기

능소화의 매력에 빠지며..

by 문촌수기 2023. 6. 30.

부천 중동으로 이사왔다. 30년 된 장년의 신도시라서 공원길에 키큰 수목들이 숲길을 이뤘다. 요새 한창인지, 여기 공원과 공원길에는 특별히 산수국과 능소화가 많고 한창 예쁘다. 좋아하는 주황색에 입을 활짝 벌리고 덩굴져 올라가는 능소화에 반하여, '능소'가 궁금해졌다.
'웃을 만하다(能笑)'는 뜻이면 더 좋아라 했건만, 아니다. 凌霄花란다. '하늘을 업신여기며, 하늘을 능가하는 꽃'이라니? 덩굴져 올라가는 모습을 보니, 가히 하늘도 오를만하다. 허허, 고놈참 건방지다. 감히 하늘을 넘보다니?
능소화 바람에 다시 <천자문>과 <장자>를 펼친다.

산수국, 중2동성당 공원길에서
능소화, 부천중앙공원에서

■ 능마강소(凌摩絳霄)
~ 남쪽 하늘 구만리(九萬里)를 누비도다.
(凌 능멸할 릉/ 摩 문지를 마/ 絳 붉을 강/ 霄 하늘 소)

북해의 큰 물고기 곤(鯤)이 큰 뜻을 품고 하늘을 넘보며, 날개 큰 붕(鵬)새가 되어서 구만리 남쪽 하늘을 누빈다는 뜻이다.

능소화 바람에 <천자문>을 다시 읽는다. 천자문은 "하늘 천, 따 지, 검을 현, 누를 황"하며 천 개의 글자를 하나씩 읽고 익히는 글이 아니다. 4언 1구를 250句로 만들어 2구나 때로는 4구, 6구로 묶어서 댓구 형식으로 읽는 한편의 장시(長詩)란다.
김세중은 <두길 천자문>(2023, 민속원)에서 “천자문은 서언(실마리)과 결언(마치는 글)을 갖추고 그 중간 방대한 본문을 ‘중국의 역사’와 ‘선비의 일생’ 두길 서사(narrative)로 요령 있게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 말은 천자문, '遊鵾獨運 凌摩絳霄(유곤독운 능마강소)'에서 유래한다.
:  鵾(곤)이 홀로 運回(운회)하면서, 하늘을 업신여기듯 누비고 있다.
- 유곤(遊鯤)은 "곤어(鯤魚)가 노닌다"는 뜻이며, 곤어는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편에 등장하는 큰 물고기이다.
- 독운(獨運)은 "홀로 움직인다"는 뜻인바, 유곤독운(遊鯤獨運)은 "곤어(鯤魚)가 북해에서 홀로 노닌다"는 말이다.
- 능마(凌摩)는 능가마천(凌駕摩天)의 줄임말로, '업신여기다'의 뜻이고,
- 강소(絳霄)는 '붉은 하늘'이란 뜻인데, 여기선 '남쪽 하늘'을 뜻하는바, 능마강소(凌摩絳霄)는 "남쪽 하늘을 멀리 누빈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첫 머리에, "북쪽 바다에 큰 물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 한다. 그 크기는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 없다. 이 물고기가 변화해서 새가 되는데 그 이름을 붕(鵬)이라 한다. 이 새가 기운을 내어 힘차게 날아오르면 그 날개는 하늘 가득히 드리운 구름과 같다." 라는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니까, 곤(鯤)이라는 큰 물고기가 북쪽 바다에서 홀로 노니는데, 그 흉중(胸中)에 품은 뜻은 하늘에 넘친다.
그리고, 곤어(鯤魚)는 붕(鵬)새로 변신한다. 이 대붕(大鵬)이 날개를 펴면 삼천리나 되고, 한 번 날면 구만리를 난다.
곤어(鯤魚)가 변신하여 대붕(大鵬)이 되고, 남쪽 하늘을 날아 오르는 것은 어떤 인물이 웅비(雄飛)의 나래를 활짝 펴는 것을 상징한다.
<천자문> 098편 구절의 해석에,
"곤어가 아침 해가 솟아오를 때, 붕새가 되어 붉은 하늘 높이 날아 오르는 웅장한 모습"이란 풀이도 가능한바,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붕새란 세속을 벗어난 자유롭고 위대한 인물을 상징한다.

<더 읽기>
+ 능소능대(能小能大)
~ 작은 일도 능하고 큰일도 능숙하다.

큰일이나 작은 일이나 임기응변으로 잘 처리해 냄 또는 남들과 사귀는 수완이 능함을 이르는 말이다.
'독수리는 파리를 못 잡고, 날면 기는 것이 능하지 못하다'는 속담이 있다.
사람이 모든 일을 두루 능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작은 일을 잘 처리하는 사람은 큰 일을 맡겨도 곧잘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작은 일에 통하는 이치가 대체로 큰 일에도 통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말로는 능하고 뛰어난 솜씨와 익숙함이란 뜻의 능수능란能手能爛,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뜻의
자유자재自由自在 등이 있다. 그때그때의 형편에 따라 그에 알맞게 그 자리에서 일을 처리함을 이르는 말인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진서晉書 손초전에서 손초를 평해
"나라와 백성을 다스리는 방책이 뛰어났고, 임기응변에 끝이 없었다" 라고 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 사기 공자세가 -

+ 능소부능대(能小復能大)
~ 작은 일을 잘할 수 있어야 다시 큰일도 잘하는 법이다.

이 성어는 삼국지의 주인공 조조(曹操)가 군사를 모집하면서 한가한 때 칼 만드는 일을 하다가 한 말이다. 조조(曹操)는 동탁(董卓)이 여포(呂布)를 앞 세워 정권을 장악하고 횡포를 일삼자 이를 토벌하고자 가짜 조서를 만들어 연합군을 결성했다. 연합군이 여포를 무찌르니 동탁이 낙양으로 돌아가 장안으로 천도를 진행했다.
이에 조조는 원소에게 동탁을 쳐들어가자고 했으나 원소등이 응하지 않자 혼자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갔다가 대패를 했다. 더 이상 연합군의 의미가 없다고 판단한 조조는 군사를 이끌고 양주(楊州)로 갔다.

중국 송나라 때에, 이방(李昉)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백과사전인 태평어람(太平御覽)에서 인용한 조조의 군책령(軍策令)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魏武軍策令曰: 孤先在襄邑, 有起兵意, 與工師共作卑手刀.
나는 먼저 양읍에서 군사를 일으킬 작정을 하고, 대장쟁이와 함께 칼을 만들었다.

時北海孫賓碩來候孤, 譏孤曰: 當慕其大者, 乃與工師共作刀耶.
이때 북해의 손빈석이 나를 찾아와 이렇게 면박을 주었다. "마땅히 큰일을 도모해야 할 분이 대장쟁이와 함께 칼이나 만들고 계십니까?"

孤答曰: 能小復能大, 何害.
내가 웃으면서 이렇게 대답했다. "작은 일을 잘할 수 있어야 큰일도 잘할 수 있지 않겠나. 뭣이 잘못 된 일인가!"


'이런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빵 발림과 발림칼  (1) 2023.10.02
왜, 미디움을 주문하지?  (0) 2023.07.14
왜 한글은 뒷전인가?  (0) 2022.07.14
동탄2, 왕배산ㆍ신리천 산책 안내  (0) 2022.06.02
우크라이나와 한반도 운명  (0)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