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와 놀기

1424 爲己之學, 배워서 남 주나?

by 문촌수기 2021. 7. 24.

코로나19 창궐로 연기된 도쿄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양궁의 금메달 소식은 국민들을 크게 위로하였다. 특히 17살 고등학생의 패기 넘치는 "코리아 파이팅!" 함성은 경기장을 쩌렁하게 울렸다. 호방한 기세는 상대를 압도하였다. 메달보다 더 큰 활기를 국민들에게 전했다. 궁도는 스포츠 이전에 인격 수양법이었다. 집중력을 키우고, 세상을 읽는 도리를 가르쳐 주었다. 옛날의 선비들이 익혀야 했던 교육과목을 육예(六藝)라 하였다. 예(禮ㆍ禮容), 악(樂ㆍ음악), 사(射ㆍ弓術), 어(御ㆍ馬術), 서(書ㆍ서도), 수(數, 수학) 등 6가지 기능이다. 육덕(六德, 知仁聖義忠和), 육행(六行, 孝友睦婣任恤)과 더불어 경삼물(卿三物)이라고 했는데 이것으로 인재를 선발할 때 표준으로 삼았다 한다.

활을 쏘았는데 적중하지 못했다면 소인배들은 활과 화살 탓하고, 바람을 탓하거나 남 탓을 한다. 그러나 대인은 바람을 읽지 못한 나를 탓하고, 활과 화살의 특성을 알지 못한 내게서 문제점을 찾고 고쳐 나간다.
오랜만에 붓을 들어 나의 '반구저기(反求諸己)'를 돌아본다. '도리어 나에게서 구하라.'는 -맹자의 말씀이다. 다시 수양하고자 활을 들고 과녁 앞으로 가야 겠다.

14‧24 子曰: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자신을 위하였는데, 지금의 배우는 자들은 남을 위한다."

고지학자위기, 금지학자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