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와 놀기

1410. 貧而無怨, 이 가난을 누구에게 원망하라?

by 문촌수기 2021. 7. 10.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가난하지만 아첨하지 않고, 부유하지만 교만하지 않는 자는 어떻습니까?
(빈이무첨 부이무교, 貧而無諂, 富而無驕)"
공자가 이렇게 대답하였다.
"괜찮다. 하지만 가난하면서 즐거워하고, 부유하면서 예를 갖추는 자만 못하지.
(빈이락 부이호례, 貧而樂 富而好禮)"
<논어> 제1학이편에 나온 글이다.

14‧10 子曰: “貧而無怨難, 富而無驕易.”
(빈이무원란 부이무교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가난하면서 원망이 없기는 어렵고, 부유하면서 교만이 없기는 쉽다.
The Master said, "To be poor without murmuring is difficult. To be rich without being proud is easy."


♡박노수는 모란화그린 뒤에 '부이무교(富而無驕)'라 제호하였다. '부유하지만 교만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꽃 중의 꽃으로 '화려하면서 사치스럽지 않고', 격조 높은 품격를 가졌으니, 화이불치(華而不侈)와 뜻과 통하기도 한다.
<논어> 학이와 헌문편에 나오는 글이다.

남정 박노수의 그림, '부이무교' 제호

♡貧而樂을 노래한 'Seven Daffodil(일곱송이 수선화)' 를 커피여과지에 그려보았다. 양희은이 번안하여 불렀다.

'Seven Daffodil(,일곱송이 수선화)' 커피여과지에 그림

https://youtu.be/45zwC4Qs7RE

♡다시 읽기ㅡ학이편, '빈이락, 부이호례'
https://munchon.tistory.com/m/1347

0115 가난해도 즐길 줄 안다

서촌의 옥인동 골목길에서 인왕산 수성동 계곡을 오르는 길에 박노수 미술관이 있다. 오래전 미술관에서 박노수 화백의 모란도가 전시된 적 있었다. 박노수 화백은 모란화를 즐겨 그렸다. 畵題

muncho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