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석조전에 가서 봤다.
간 김에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난 가던 굴욕의 길을 따라, 그리고 오래전 동생이 근무한 경향신문사까지 올라가 옛 추억도 더듬었다.
이상의 초상화를 처음 만났을 때, 그 감격과 놀라움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내 눈에서 살아있는 시인을 직접 만난 듯.
한참 동안이나 눈을 맞추고 소리없는 대화를 나눴다.
이상의 친구, 곱추화가 구본웅이 그려준 <친구의 초상>
https://munchon.tistory.com/m/1219
오감도, 이상의 집
그가 살던 집 지붕에 까마귀가 앉아 서촌골목길을 내려다보고 있다. 그 집안에 구본웅이 사랑한 벗 김해경이 살고 있다. 장자가 이야기한다. "날개는 커도 날아가지못하고(翼殷不逝), 눈은 커
munchon.tistory.com
ㅡ왼쪽으로 쓴 한글, 일본어, 한자, 영어 ,
하나씩 자세히 읽어보면 아주 재밌다.
(『별건곤」 제8권 제7호, 개벽사, 1933.7)
1933년 7월, 개벽사에서 발행한 대중 잡지 [별건곤]의 표지 그림이다. 제목은 '모던 금강만이천봉! 수많은 봉우리 마다 다채로운 상점들이 쌓이고 또 쌓여 높은 산을 이루었는데, 그 중에는 '매소루(賣笑樓) , 즉 '웃음을 파는 집'에서부터 파라마운트 영화관, 약국, 냉면집, 맥주집, 바(Bar), 그리고 특히 카페, 다방이 즐비하다. 무엇보다 충격적인 것은 절벽 한 곳에 '자살장'이 마련되어 있다는 사실인데, 이 자살장에는 이미 한 인물이 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모든 아수라장의 맨 꼭대기에는 예배당이 자리를 잡았는데, 그 위로는 "천당이 가깝다"라고 쓰인 깃발이 애드벌룬 옆으로 펄럭인다. 1930년대 한국사회는 지금의 '현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병리학적 특성을 이미 고스란히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 도안은 증명하고 있다.
구본웅의 그림들
구본웅의 여행가방, 왼쪽 상단에 자신의 웅(雄)자의 초서 서명을 직접 긁어 새겼다. 영어 필기체 esg를 닮은 듯.
가톨릭소년 잡지 표지 그림은 이상의 그림이다.
이상(김해경)의 본래 꿈은 화가였단다. 친구가 본격적으로 시를 써보라 권하면서 시인의 길을 걸었다. 특히 수필가 이태준은 친구의 천재성을 알아보고 독자들의 온갖 비난을 무릎쓰고 이상의 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 게재를 계속 이어 나갔다.
버스를 기다리며 ..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문사철예, 인문학 산책도 즐기고 노래도 부르며,
애창곡, 이문세의 '광화문 연가와 옛사랑'을
커피여과지에 그린다.
https://munchon.tistory.com/m/1514
광화문 연가, 덕수궁 돌담길을 노래하고 싶다.
눈 오는 날이면 생각나는 길, 덕수궁 돌담길, 정동골목 언덕길. 동생이 고향을 떠나 총각때부터 18년 동안 생활했던 경향신문사를 찾아 올라갔던 그 골목길. 함께 걸었던 추억을 떠올려본다. 떠
munchon.tistory.com
'한양도성과 인문학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멱상풍(木覓賞楓) 십경 (1) | 2023.09.30 |
---|---|
남산공원 북측순환로 산책 (0) | 2023.09.25 |
궐리사ᆞ 공자 사당과 행단 (1) | 2019.05.06 |
문사철 인문학 여행 ~ 연수프로그램과 산책 추천 (0) | 2019.04.18 |
그리움이 등대가 되어 (2) | 2019.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