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커 카드는 불리한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거나, 판세를 뒤집어 내 쪽으로 기져오기 위해 꺼내는 카드다. 코로나바이러스 정국을 뒤엎을 우리의 조커는 누구인가?
결국, "모든 것은 가게 되어 있고, 가야한다."
(everything must go). 그것은 필연이고 당위다.
언젠가 끝장을 보이겠지만, 좀 더 일찍 국면 전환을 위해 간절한 마음으로 조커 패를 던진다.
영화 <조커>의 엔딩곡으로 프랭크 시나트라의 "Send in the Clown, 어릿광대를 보내주오"이 흘러나왔다. '여기서 왜 니가 나와?'
조커는 광대였으니까.
퇴직하고도 도덕선생 꼰대근성이 아직 몸에 배어 있는지, 몹쓸 영어 실력인지, 조금 비틀어서 이렇게 들렸다.
'Sand in the Crown'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것은 '왕관의 모래'이다."
권력자가 되면 쓰는 독선, 지식인들이 감춘 위선, 입으로는 민주라면서 탐욕의 배를 채우는 위정자들,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하고 위정자의 탐욕과 결탁하는 부자들. 모두가 모래를 덮어쓰고 위세를 부리는 자들이다. 결국 모래를 씹게 되는 줄 모르고.
<노랫말>
Isn't it rich? Are we a pair?
Me here at last on the ground,
You in mid-air,
Where are the clowns?
Isn't it bliss? Don't you approve?
One who keeps tearing around,
One who can't move,
Where are the clowns?
There ought to be clowns?
Just when I'd stopped opening doors,
Finally knowing the one that I wanted was yours
Making my entrance again with my usual flair
Sure of my lines
No one is there
Don't you love farce? My fault, I fear
I thought that you'd want what I want
Sorry, my dear!
But where are the clowns
Send in the clowns
Don't bother, they're here
Isn't it rich? Isn't it queer?
Losing my timing this late in my career
But where are the clowns?
There ought to be clowns
Well, maybe next year
<해석>
좀 아이러니하지 않나요?
우리가 연인인가요?
난 결국 여기 땅에 있고 당신은 공중에 있으니
(나 대신) 어릿 광대를 보내주오.
축복이 아닌가요?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요?
한사람은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또 한사람은 움직일 수 없으니,
어릿광대는 어디있나요?
(나 대신) 어릿 광대를 보내주오.
이제 문열기를 막 멈추려할 때,
마침내 난 알았죠.
내가 당신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죠.
내 원래의 모습 그대로 다시 무대에 등장해서
나의 대사를 읊조렸어요.
그런데 아무도 없어요.
당신은 희극은 사랑하지 않죠.
혹시 내가 잘못했나요?
내가 원하는 것을 당신도 원한다고 생각했는데,
미안해요. 내 사랑.
어릿 광대는 어디 있나요?
어서 어릿광대를 보내주오.
걱정 마셔요.
그들은(광대는) 여기 있어요.
<이야기 더하기>
"Send In the Clowns"(광대를 보내주오)는 스티븐 손드하임(Stephen Sondheim)이 1973년 뮤지컬 "A Little Night Music(小夜曲)"을 위해 작곡한 곡이다.
소야곡은 스웨덴의 잉그마르 버그만의 1955년 영화 "Smiles of a Summer Night"를 각색한 것이다.
여주인공인 데시레(Desirée)가 자신의 삶의 아이러니들과 실망감을 되새기며 부르는 2막의 발라드다.
노랫말 속의 '광대'는 서커스의 광대가 아니다.
코미디 극에서 연기자가 대사를 까먹었거나 극이 중단되었을때, 긴급적으로 투입되어 무대에 올라 관객들에게 조커를 던지며 웃음과 흥미를 유발하는 사람을 말한다.
뮤지컬에서 여주인공은 변호사인 남자 주인공에 청혼을 하였는데 거절당하고 무대에서 혼자가 되었다. 그 순간이 무척 후회스럽고 말문이 닫혀 그 상황을 벗어나고 싶은 속내를 독백으로 노래하고 있다. 그 순간에 코미디극에서 긴급투입되는 광대를 보내주면 좋겠다고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 광대는 등장하지 않고 결국 자신이 바보 광대가 되었다며 노래하는 것이다.
이 곡을 Frank Sinatra가 불렀으며(1973), 이후
Judy Collins(1975)도 불렀다. Judy Collins는 이 곡으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였다.(1977)
https://youtu.be/B7FMU7ynpM8
Frank Sinatra
https://youtu.be/fOUrnUktTjU
1975 Judy Collins / Bb key
https://youtu.be/8L6KGuTr9TI
'노래커피그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연못 (0) | 2020.08.30 |
---|---|
500 Miles, 이런 시절도 있었구나. (1) | 2020.08.30 |
도나 도나, Donna donna (1) | 2020.08.25 |
Can't Help Falling in Love, 사랑에 빠진 나 (0) | 2020.08.15 |
그루터기, 다 주고도 사랑넘친다.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