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5 예란 어김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禮야말로 자기를 바로 세우는 기둥이요.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길이다. '非禮勿視 非禮勿言 非禮勿廳 非禮勿動'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말고, 예가 아니면 행하지도 말라. 02‧05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 事之以禮; 死, 葬之以禮, 祭之以禮.” (무위, 생 사지이례ᆞ사 장지이례ᆞ제지이례) ~맹의자가 효를 물었다. 공자는 "어김이 없어야 한다"고 했다. ... 번지가 "무슨 말씀입니까?" 공자 말씀하시길, "(어버이) 살아 계신적에는 예로써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를 지내고, 예로써 제사를 지내야 한다." Mang I asked what filial piety ..
2020. 4. 19.
0204 언제 내 마음대로 살 수 있을까?
공자, 나이 마흔에 불혹(不惑)한다고 했다. 나는 오십이 넘고 육십을 넘어서도 여전히 유혹인데. 허~참. 다행이라 여긴다. '아직 젊구먼' 자평해본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갖고 싶고, 여기 저기 가고 싶은 곳도 많다. 늘 흔들리는 마음. 호기심과 궁금증으로 이것 저것 벌려 놓는 것도 많다. 책도 여러 권을 펼쳐 놓고 이것 봤다 저것 봤다가 한다. 自號를 하나 더 붙여볼까, '비달(非達)' 이라고? 유혹이어도 다행인 것은 흔들려도 몸과 마음을 더럽히지 않는다. 칠십이 되면 욕심을 좇아도 정말 양심에 거리낌이 없을까? 02‧0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 從心所欲, 不踰矩.”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오십이지천명, 육십이..
2020. 4. 19.
위정제2 - 0202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
'교언영색에는 어진 이가 적다' 했다. 억지로 꾸민 얼굴, 꾸민 말에는 거짓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마음 속에서 농 익어 감흥이 일어나니 절로 노래가 된다. 꾸밈없이 절로 나오는 노래가 시가 된다. '생각에 꾸밈과 거짓과 간사함이 없다'는 말은 이 뜻일 것이다. 02‧02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공자 말씀하시길, "시경 삼백 편의 뜻을 한마디 말로 덮을(표현할) 수 있으니, '생각에 간사함이 없다.'는 말이다." The Master said, "In the Book of Poetry are three hundred pieces, but the design of them all may be embraced in one sentence..
2020. 4. 19.